autowired
![[Spring] @Autowired, @Resource, @Inject의 차이](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cBXxyE%2FbtrAvGsBrwc%2FTxXvvakS3XPrhsp2lMPIEK%2Fimg.png)
[Spring] @Autowired, @Resource, @Inject의 차이
어노테이션을 통한 의존성 주입(DI)는 어떻게 할까? @Resource, @Autowired, @Inject의 차이는 뭘까? 클래스간의 의존 관계를 주입할 때에는 주로 어노테이션 방식으로 의존성 주입을 하게 된다. 따라서 개발자가 가장 자주 사용하게 될 의존성 주입 방식은 어노테이션 방식의 의존성 주입이다. 의존성 주입에 관련된 어노테이션은 @Resource / @Autowired / @Inject가 있는데 차이는 뭘까? @Resource 스프링이 관리하는 빈 이름(Bean Name)으로 객체를 찾아 해당 빈을 주입한다. 이름으로 빈을 찾지 못하면 타입을 기준으로 의존성 주입을 진행한다. Setter, Field에 사용할 수 있지만 생성자에는 사용하지 못 한다. 인터페이스로 다형성을 적용한 구현체들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