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ML
![[Spring] XML을 이용한 DI](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piJ15%2FbtrAssVvur7%2FAAAAAAAAAAAAAAAAAAAAABhRg1GwyZVUhLzffi31sN5km9tpyX-Pgw0eWQ5lZtD1%2Fimg.pn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539739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PIFy08zcdJg%252ByvxNrV3dk0WdLZ0%253D)
[Spring] XML을 이용한 DI
스프링에서 의존성 주입을 어떻게 할까? XML을 이용한 의존성 주입(DI)은 어떻게 할까? 의존성 주입은 어떻게 하는걸까? 스프링에서 의존성 주입(DI) 방법은 XML 설정을 통한 방법과 어노테이션을 이용한 방법이 있다. XML 설정을 통한 의존성 주입은 설정 파일에서 일괄적으로 의존성을 주입을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주로 외부 라이브러리 클래스를 주입해야할 경우에 사용한다. 어노테이션을 통한 의존성 주입은 주로 클래스간에 의존 관계를 주입할 때 사용한다. XML 설정을 통한 의존성 주입 생성자를 이용한 주입 방법 김철수 lazy-init = "true" : 생성 지연, Bean 객체를 사용할 때 생성 (default : WAS에서 Context load시에 Bean 객체로 등록) : Class의 생성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