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존성주입
![[Spring] 의존성과 의존성 주입 (Dependency & Dependency Injection)](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8HxRh%2FbtrArH6zPK9%2Fel2o7u1PjhDDCq3kQEoQS0%2Fimg.png)
[Spring] 의존성과 의존성 주입 (Dependency & Dependency Injection)
의존성이 무엇일까? 의존성을 어떻게 해결할까? 의존성 주입이 왜 필요할까? 지난 글을 통해 IoC 방식의 장점을 알아보았다. 이러한 스프링의 IoC 동작을 이해하려면 의존성과 의존성 주입의 개념 또한 알아야한다. 스프링은 DI, 의존성 주입이라는 핵심 기능을 통해 IoC 구조를 설계할 수 있게 해주고 있기 때문에 꼭 알아야하는 내용이다. 그래서 DI가 뭔데? 일단, 구글에 검색해보자. DI란 Dependency Injection의 줄임말로 한글로 번역하면 의존성 주입이라는 말이다. "의존성 주입"은 제어의 역행이 일어날 때 스프링이 내부에 있는 객체들간의 관계를 관리할 때 사용하는 기법이다. 의존성 주입은 말 그대로 의존적인 객체를 직접 생성하거나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객체에 필요한 객체를 외부에..